목록재테크 (2)
일상과 재테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42zx/btsCCzDSccX/M9Ba87H7uwIXxx0mIjmYm1/img.jpg)
누군가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댓가로 재화를 획득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논리이다. 과연 다른 사람들에게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사람들은 그 서비스에 대한 댓가를 얼마로 생각하고 있을까? 사회 통념이라는 것이 있다. 내가 속한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사람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통념이다. 나는 과연 누구에게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자산을 일군 사람들의 특징은 사람들이 하기 힘들어 하는 일을 대신해주어 사람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그 사람들의 재화를 획득한다. 개개인이 생산자가 되어야 한다. 현 시대에는 생산자라는 개념이 기업에서 개개인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실례로 유튜브를 생각해보자. 예전에는 공영방송이나 미디어, 뉴스에서 하던 일들을 개개인의 유튜버가 정보전달을 하거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5OJz/btsCknxnnuh/rpLjj9ekK5rrEZk1K4ckB1/img.jpg)
다들 이런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까? 이 생각을 하게 된 계기는 카카오에 예금을 하면서이다. 예금을 해놨는데 실시간으로 매 초마다 0.0x원만큼 출렁이는게 아닌가? 흠... 그렇다면 1초에 1원씩을 벌려면 과연 얼마가 있어야 하지? 라는 생각에서 출발했던 것 같다. 대략적인 계산으로는 약 8억원이 정답인 것 같다. 자, 그럼 엄청난 사실을 말해보겠다. 1년은 365일이고, 하루는 24시간이고 1시간은 60분이고 1분은 60초다. 곱해보자 1(초) X 60(분) X 60(시간) X 24(하루) X 365(1년) 결과는? 놀라웠다 31,536,000원 잠깐만, 내가 자릿수를 헷갈린게 아닌가? 아니었다! 한사람의 연봉이 나왔다. 이래서 시간이 돈이라고 한거였구만!!! 무엇인가를 발견했다는 기쁨에 지금은 경제적 ..